관광기업의 고민을 해결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효율화하기 위해
기업별 요구에 따라 필요한 기술을 바우처 형태로 제공
앱·웹 서비스 고도화, 신기술 도입, 솔루션 개발, 스마트 기술 기반 디지털 마케팅 등
관광기업의 혁신활동 비용을 바우처 형태로 지원
*앱·웹 개발 및 고도화, 신기술 기반 솔루션 도입, ICT 솔루션 도입, 디지털전환 컨설팅, 디지털 마케팅
관광기업이 자원을 투입하여, 새로운 관광 상품을 개발하기 위한 일련의 활동
최대 64억 원, 162개사(혁신바우처 플러스, 일반바우처(중형/소형))
유형구분 | 지원금액(백만원) | 최대 선정규모(기업 수) | |
---|---|---|---|
일반 바우처 |
중형바우처(디지털 전환) | 50 | 52 |
소형바우처(디지털 전환) | 20 | 72 | |
소형바우처(마케팅) | 20 | 18 | |
혁신바우처 플러스(DX 특별 프로그램) | 100 | 20 |
※ 서비스 로봇 부문 10개사(혁신바우처 플러스 또는 중형바우처) 우선 선발 예정
구분 | 일반 바우처(중형/소형) | 혁신바우처 플러스 |
---|---|---|
선정기준 |
과업 중심의 선정 및 평가(기업, 과업 先 선정)
▶ 관광산업 분야 연계, 디지털 전환 과업 중심으로 선정 및 평가 ▶ 사업수행계획서에 작성한 과업내용 기준으로 과업 수행 |
기업 중심의 선정 및 평가(기업 先 선정, 과업 後 선정)
▶ 과업 내용과 함께 기업의 디지털 전환 역량 및 잠재력을 평가 ▶ 한국관광공사 및 전문가가 기업의 DX 단계 진단을 토대로 과업 내용 선정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진행 과업을 함께 선정 |
선정방법 | 서류평가, 현장점검(일부 필요 기업 대상), 발표평가 | 서류평가, 현장점검, 발표평가 |
지원내용 | 유형별 바우처 지급(중형 5천 만원, 소형 2천 만원) | 유형별 바우처 지급(1억 원 + α) |
전문가 멘토링 지원(필수 2회/회당 최대 2시간)
* 멘토 및 공사에서 과업 검수 예정 |
전담 전문가 멘토 배정(최대 20회/회당 최대 2시간)
* 멘토 및 공사에서 과업 검수 예정 |
|
우수기업 대상 ‘관광벤처의 날' 행사를 통한 시상 및 시상금 제공 | ||
- | 외부 협업 주선, 유관 박람회 참여 지원 등 | |
지원범위 | 서비스 메뉴판 기준 1개 대분류 내, 최대 3개 소분류 선택, 3개 계약까지 분할 가능 |
서비스 메뉴판 기준 최대 2개 대분류, 3개 소분류 선택, 3개 계약까지 분할 가능 |
제공기업 매칭 |
매칭데이 행사 활용 등 자율적인 제공기업 탐색
* 단, 공모기간 및 선정 전 사전에 제공기업과 컨택하거나 사전 결탁 업체는 부정행위로 간주 |
제공기업 비딩 및 공사/멘토 컨펌을 통한 제공기업 매칭
* 단, 공모기간 및 선정 전 사전에 제공기업과 컨택하거나 사전 결탁 업체는 부정행위로 간주 |
관광기업 혁신 바우처
서비스 메뉴판
웹·모바일·기타 서비스 기획/개발 및 개선/고도화
(AI) 실시간 정보 제공을 위한 생성형 관광 AI 기술 도입
(핀테크 등) 관광객 거래 효율화를 위한 혁신 결제 기술 도입
(AR, VR, MR, XR) 관광객 실감 경험을 확대하는 인터랙티브 기술 도입
(모빌리티) 지능형 관광 이동 연계서비스· 첨단 모빌리티 기술 도입
(키오스크, 로봇, IoT) 관광서비스 지원 무인화·로보틱스 기술 도입
(IoT, AI) 실시간 관광객 안전을 위한 관광 환경 예측·분석 정밀 기술 도입
(빅데이터, AI) 빅데이터 기반의 관광 디지털 큐레이션 기술 도입
(빅데이터, IoT) 관광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디지털 혁신 기술 도입
경영 관리 솔루션(ERP) 도입 및 개발 구축
공급 관리 솔루션(SCM) 도입 및 개발 구축
고객 관리 솔루션 도입(CXM) 도입 개발 구축
QA 지원(디지털전환 서비스 품질관리)
사이버 보안(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보장, 신뢰구축 솔루션 및 툴킷 도입)
디지털전환 전략 수립, 디지털전환 심층 역량 진단, 디지털 프로세스 혁신 방안 도출 등 전략·기술 컨설팅
지적재산권 확보, 규제샌드박스 도입을 통한 실증사업화 추진 등 관련 전문 자문 서비스
스마트 기술 기반 콘텐츠 제작 및 홍보